반응형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는 마이코플라스마목 미코플라스마과에 속하는 세균을 가리키는 분류입니다. 주로 호흡기, 비뇨기계, 생식계에서 감염을 일으키는데, 크기가 작고 세포벽이 없어 그람 염색이 효과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1. 분류
과거에는 Mollicutes에 속하는 작고 세포벽이 없는 세균들을 일반적으로 마이코플라스마라 불렀지만, 현재는 몇 차례의 세균 분류 개정을 거쳐 그 범위가 제한되었습니다.
2. 특징
세포벽이 없으니 페니실린 같은 베타-락탐(beta-lactam) 계열, 반코마이신 같은 글리코펩타이드(glycopeptide) 계열 항생제는 듣지 않습니다. 사용될 수 있는 항생제에는 테트라사이클린 계열, 매크로라이드 계열, 플루오로퀴놀론 등이 있습니다.
크기는 0.2~0.3마이크로미터이며, 세포벽 부재로 형태가 다양하며, 다형성을 보입니다.
부착소를 이용하여 상피세포에 부착하여 감염을 일으킵니다.
3. 하위 종
폐렴마이코플라스마 (M. pneumoniae): 호흡기 감염 및 폐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병리
사람 간에는 비말로 감염되며 호흡계, 특히 상기도(URT)에서 주로 감염된다. 이들은 P1 부착소를 포함한 다양한 부착소(adhesin) 단백질을 이용하여 호흡기 상피세포의 섬모(cilia)에 달라붙고 이로 인해 섬모가 손상되면 상기도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능력도 손상된다. 섬모가 호흡기에서 먼지나 세균 등을 일차적으로 걸러낸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우며 감염을 인지하여 활성화된 면역계의 세포들은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이 사이토카인은 물론 면역 반응을 일으켜 세균을 죽이는 데 일조하지만 한편으로는 과민반응 등의 면역계 부작용을 야기하여 만성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 (출처:나무위키)
마이코플라스마 게니탈리움 (M. genitalium): 비뇨생식기 감염, 질염 등의 감염을 일으킵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호미니스 (M. hominis): 요도염, 산욕열, 신우신염 등을 유발하는 세균입니다.
마이코플라스마속은 수십 가지 종이 있으며, 이들은 인간 및 동물에 다양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건강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약품 안전성 서한]독감치료제 처방‧투여 시 주의사항 (0) | 2023.12.11 |
---|---|
듀락칸이지시럽(latulose) 수급불안정 (0) | 2023.12.10 |